2015년 2월 26일 경향신문

- [ 새정치 우윤근의 리얼 버라이어티 정치쇼 ]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이완구 신임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국회 인사청문회 때) 정말 마음이 아팠다. 도와드리지 못해서…”라며 눈물을 보였다. “누가 뭐래도 마음속에 간직해야 할 훌륭한 파트너이자 인생선배라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고도 했다. 여야 협상 대표로 넉 달간 친해 졌을수도 있겠지만 야당 원내사령탑으로서는 부적절한 처신이다. 새정치연합이 인준 표결 직전까지도 “부적격자”라며 자진사퇴를 촉구한 건 ‘쇼’였다는 말인가. 우윤근의 눈물 예능으로 한국 정치는 말그대로 ‘리얼 버라이어티 정치쇼’가 되어버렸다. http://goo.gl/0i0AQ4 

경향신문 1면 사진. 이완구 국무총리가 2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축하인사차 경례하는 경찰 출신의 새누리당 김한표 의원을 향해 손을 들어 화답하고 있다. 그 뒤에 앉은 한민구 국방장관이 그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 [ 검찰의 끝없는 욕심, 아직도 배고픈가 ]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헌법에 명시된 영장청구 독점권’, 수사권과 경찰 및 특별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 지휘권, 독점적 기소권, 독점적 공소유지권, 형집행권 등 재판을 제외한 모든 형사사법 기능을 다 틀어쥔 검찰이 정보 수집과 범죄예방 업무까지 손을 뻗치더니, 급기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을 넘어서는 대규모 ‘과학수사부’를 창설했다. 새로운 과학수사 기구가 필요하다면, 대한변호사협회(대한변협) 같은 기관에 법과학연구소 설립을 허용하고 지원하든지, 민간 법과학연구소를 인증하는 것이 옳다. 가뜩이나 어려운 나라 살림에 이중 삼중의 과학수사기관을 만들 필요가 도대체 어디에 있을까? 유병언 추정 시신, 세월호 참사 원인, 천안함 침몰 원인 등의 ‘사건’들은 검찰에 ‘또 하나의 국과수’가 없어서 의혹의 대상으로 남은 것이 아니다. 수사 절차와 과정에 대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란 걸 아는지 모르는지… http://goo.gl/nM8h3s

- [ 원망도 어긋남도 없었다던데…우린 왜 이렇게 망가졌을까? ] 우리의 고서 중 하나인 <삼성기(三聖記)>에 따르면 역사 이전 우리 민족의 원조로 알려진 천제한님이 ‘천해(天海) 동방 파나류산 밑에 한님(환인·桓因)의 나라를 세운’ 바 있는데, ‘땅이 넓어 남북이 5만리, 동서가 2만리’나 된다고 했다. 중종 때의 선비 이맥(李陌)도 <환국본기(桓國本紀)> 서두에서, 그 나라를 가리켜, ‘순리대로 잘 조화되어… 어려운 자를 일으키고 약자를 구제하여… 어긋나는 자 하나도 없었다’라고 썼다. 천해란 북해를 말하고 북해란 바이칼호를 말한다. 바이칼은 우리 민족이 최초로 이상적인 나라를 세웠던 그곳이다. 이맥의 <환국본기>엔 조상들이 바이칼 동쪽에 세웠던 ‘천제한님’의 나라는, ‘친하고 멀다 하여 차별을 두지 않았고, 윗사람 아랫사람이라 하여 층하를 두지 않았으며, 남자와 여자의 권리를 따로 하지 않았다’면서, ‘원망하거나 어긋나는 자가 하나도 없었다’고 되어있다. 우리는 왜 이렇게 망가졌을까? http://goo.gl/8BkehY

- [ 토론이 살아있는 경향 오피니언면 ]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칼럼 <경제와 세상>에 ‘범죄수익 환수법’과 관련 전날 김상조교수의 경제시평에 대한 반론 칼럼을 게재했다. 스스로 글머리에 “김상조 교수를 폄하하거나 공격하기 위한 글이 아니다. 김상조 교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우리나라 최고의 경제학자이고, 필자가 가장 아끼는 후배이자 동료다. 우리들은 또한 이 문제에 관해 이미 여러 차례 서로 팩트와 주관적 평가를 주고받으며 동의하는 부분과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필자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무엇이 서로 확인했던 팩트였고, 어디서 서로의 의견이 갈라지게 되었는가를 밝히고 독자들의 판단을 구하고자 함이다” 라고 밝히고 김상조 교수와의 공감과 이견을 정리했다. <‘범죄수익 환수법’에 대한 단상 http://goo.gl/xYp2gJ> 말그대로 지상 토론이다. 또 하나 눈에 띄는 칼럼은 라종일 한양대 석좌교수의 글이다. 지난 1월 22일자 칼럼니스트 김경의 공개서한 <구원의 노신사님께 http://goo.gl/Aw2IAt> 에 대한 답이다. “저는 현실이 아무리 불만족스럽다고 할지라도 이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신통한 해결책이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그런 약속을 하는 사람들을 매우 의심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김경의 트렌드vs클래식’에 답 함 http://goo.gl/jEq5HJ>  칼럼 필자들끼리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는 느낌이다.

- [ 껴맞추는 건 불가능하다 ] 서로 맞지 아니한 것을 적당히 갖다 맞추다는 의미로 ‘껴맞추다’를 많이 쓴다. ‘끼워맞추다’를 쓰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껴맞추다’나 ‘끼워맞추다’는 사전에 없는 말이다. ‘서로 맞지 아니한 것을 적당히 갖다 맞추다’는 뜻을 지닌 말은 ‘꿰맞추다’이다. ‘뀌어’의 줄임말로 ‘껴’를 사용해 ‘껴맞추다’로 쓰는 사람이 있다. ‘사귀어’나 ‘바뀌어’를 줄여 ‘사겨’ ‘바껴’로 쓸 수 없듯 ‘뀌어’를 ‘껴’로 줄일 수 없다. 우리말에는 ‘ㅟ’와 ‘ㅓ’의 준말 형태를 표시할 수 있는 음운이 없다. 입말뿐만 아니라 글말로도 많이 쓰는 ‘짜맞추다’도 사전에 없다. ‘짜맞추다’를 ‘짜(다)+맞추다’로 구성된 복합동사로 보면 쓸 수 있을 듯한데 사전은 ‘짜(서) 맞추다’로 쓰라고 한다. http://goo.gl/3bX8iL

 

 

Posted by jino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