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5일 경향신문

-‘가치담배(낱개담배)’가 다시 등장했다. 1개비에 300원. 근데 담배를 낱개로 팔면 불법이란다. 구청은 담배사업법 제20조 ‘담배의 포장 및 내용물을 바꿔 판매해서는 안된다’는 조항을 들어 단속에 나섰다. <낱개로 파는 ‘가치담배’가 불법이었다니… http://goo.gl/knWvyr> “그냥 냅둬라 돈없는 사람들 낱개라도 사서 피우게…” 가장 먼저 달린 댓글이다. 

-구조개혁이란 과거의 제도와 관행을 바꾸지 않고선 현재의 위기를 벗어날 방법이 없다는 인식에서 비롯됐다. 한국에서 과거 성공한 구조개혁을 꼽는다면 농지개혁이 될것이다. 과거의 질서인 지주제를 해체했기 때문이다. 구조개혁이란 한마디로 고도의 정치과정이요, 높은 수준의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정부는 이 개혁을 단기에 군사작전처럼, 쿠데타처럼 해치우려 한다. 사회적 합의 없이 공무원들의 ‘특혜’를 부각시켜 공무원연금을 깎고, 다음에는 군인과 사학연금을 건드리고, 다시 국민연금에 손을 대는 식의 개혁은 끝없는 갈등만 낳을 것이다. <‘개혁’을 쿠데타처럼 생각하는 박근혜 정부 http://goo.gl/1IHpDQ>

-대한항공 비행기는 뉴욕 공항에서 후진을 했다. 항공기 사고 중 사상 최악 첨사로 기록된 사고는 아이러니하게도 공중이 아닌 지상에서 일어났다. 1977년 스페인 로스 로데오 공항 활주로에서는 지상 활주 중이던 팬아메리칸 항공과 이륙 중이던 KLM의 보잉 747 항공기 2대가 안개로 인해 충돌, 583명의 사망자와 61명의 부상자를 낸 대참사가 벌어졌다. 국토부는 ‘땅콩 회항’사건과 관련 박창진 사무장 조사 때 대한항공 임원 동석 시켰다고 한다. 불공정의 극치를 보여주는 사례다. <항공사와 불륜에 빠진 국토부 http://goo.gl/YncXHw>

-(※ 이 기사에는 영화 스포일러가 될 만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영화적으로 말하자면, 영화 ‘국제시장’의 덕수가 겪는 삶의 질곡들은 무척 개연성이 떨어진다. 흥남 철수에서 아버지를 잃고, 독일 광산에서 죽을 뻔하고, 베트남 전쟁에서 또 한번 죽을 위기를 넘긴 인물이 이산가족 찾기에서 잃어버린 여동생을 만난다. 게다가 덕수는 우연히 정주영 회장을 만나고 남진과 조우한다. 영화 ‘국제시장’은 영화적 만듦새가 헐겁다. 하지만 헐거운 만듦새가 흥행에 꼭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는 ‘7번방의 선물’에서 부족한 개연성이 흥행과 무관하다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헐거운 영화 ‘국제시장’ 관객 700만 돌파 http://goo.gl/LHxuG5>

-한화 감독을 맡은 김성근 감독 “요즘 비난이 없으니 무지 편안한 건 맞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한테 비난받지 않는다’는 것, 이 자체가 굉장히 위험하다. 사람이 동그래지면 어디로 굴러갈지 모른다. 각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함부로 굴러가지 않고, 굴러가더라도 많이 가지 않는다.” 둥글게 산다는 것, 착한사람으로 불리는 것, 사람 참 좋다는 평가 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말씀이다. <3년 연속 꼴찌 야구팀 맡은 ‘야신’ http://goo.gl/yQaXQY>

-교수들이 새해 바람을 담은 사자성어로 ‘정본청원(正本淸源)’을 선정했다. 정본청원은 근본을 바로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는 뜻으로 ‘한서(漢書) 형법지’(刑法志)’에서 비롯됐다. <새해 사자성어 ‘정본청원’ http://goo.gl/eok2dy>

-수학은 약속에서 시작된다. 그 약속은 “점은 크기가 없고 위치만 있다” 또는 “선은 폭이 없는 길이다” 등과 같은 수학적 정의이다. 거대한 수학의 기초엔 이러한 주춧돌 역할을 하는 약속이 있다. 우리의 삶과 사회도 마찬가지다. 각자의 이해와 갈등이 뒤섞여 표출되지만 그럼에도 사회라는 거대한 건축물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은 이를 지탱하는 서로 간의 합의와 동의라는 주춧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도로에 그려진 노란 중앙선을 예로 들 수 있겠다. 반대편 차선에 많은 차들이 달려오고 있음에도 어떤 걱정도 없이 아니 의식조차 하지 않으며 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노란 중앙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를 지켜주는 것은 노란 중앙선이 아니라, 노란 중앙선에 대한 약속과 믿음이다. 중앙선을 침범하며 운전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약속과 어떤 일이 있어도 그 약속은 지켜질 것이라는 믿음이 그것이다. 점과 직선에 대한 정의가 그렇듯, 이 약속과 믿음은 도로를 달리는 모든 차에 적용된다. 값비싼 외제차나 덩치 큰 덤프트럭이라고 하여 중앙선 침범이 허용된다면, 우리는 매번 운전을 할 때마다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 도로에 나서야만 할 것이다. <국가가 국민을 지켜준다는 믿음 http://goo.gl/1bcCeM>  

-도시에서 보행(걷기)은 이제,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 않는다. 걷기 위해 걷는 사람은 없다는 뜻이다. 어찌보면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일련의 ‘사용자 경험’을 경유해 특정한 ‘과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수단이 되어버린 듯하다. 이제 상당수의 보행자들은 누군가의 ‘고객’이 되기 위해 바쁘게 거리에서 움직일 따름이다. 낯선 풍경과 조우했을 때는 곧바로 터치스크린 속으로 들어가 길찾기에 나선다. <스마트폰 화면 크기로 작아지고 납작해진 도시 http://goo.gl/LFQnQ2>

-위험사회론을 주창한 울리히 벡 교수가 2015년 새해 첫날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벡 교수의 제자인 홍찬숙 서울대여성연구소 연구교수의 추모 기고가 경향신문에 실렸다. “독일은 가부장제가 강한 사회라 지도교수를 ‘박사 아버지’라고 부르는데, 날이 갈수록 정말 아버지같이 어려우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받았다.”고 회고 했다. <울리히 벡을 추모하며 http://goo.gl/bZLFLp> 울리히 벡교수는 1986년 출간한 '위험 사회'로 단숨에 세계 사회과학계 중심에 섰다. 그는 이 책에서 사회가 계급 갈등뿐 아니라 환경·기술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산업화·근대화가 진행될수록 사회는 더욱 위험해진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위험은 계급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적용된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위험사회’ 경고 울리히 벡 타계 http://goo.gl/N6ASY5>

-현재 상용화된 인터넷 서비스에서 최대로 표시할 수 있는 조회수 숫자는 얼마일까? 답은 922경3372조368억5477만5808이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때문이다.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 조회수 숫자 한계 21억4748만3647건 넘자 구글은 64비트로 표기 방식을 바꿨다. <인터넷 조회수 한계는? http://goo.gl/HdfRwR>

 

 

Posted by jino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