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을 보고 알게 된 것_2017년 1월 19일

- [ 구역질 나는 흡연 경고 그림, 보고도 피운다 ] 흡연 경고그림이 들어간 담뱃갑이 시중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달 23일부터 생산한 담뱃갑 상단에 경고그림을 인쇄하기로 했다. 처음으로 경고그림이 인쇄된 담배를 샀다는 김모씨(48)는 “담배를 끊어버릴까 하는 생각이 들고 있다”고 말했다. 경고그림을 본 최모씨(29)는 “치아가 뭉그러진 사진을 보면서 속이 매스껍긴 했다”고 했다. 불쾌감 때문에 경고그림이 없는 담배를 요구하는 이들도 생겼다. 경고그림이 인쇄되기 전에 담배를 ‘사재기’하는 일도 벌어졌다. 일부에서는 불쾌감에도 불구하고 경고그림의 효과가 의문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경고그림 담뱃갑을 산 오모씨(29)는 “처음에는 유쾌하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림에 익숙해져 별 효과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goo.gl/qQBxDt 

- [ 가수 보아, 입대 앞둔 각시탈과 열애 중인가 보아요 ] 가수 보아(30)와 배우 주원(29)이 열애 중임을 밝혔다. 주원의 소속사 화이브라더스 관계자는 1월18일 “두 사람의 열애 소식이 맞다”면서 “두 사람이 영화 등 공통 관심사가 있어 자연스럽게 교제하게 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보아는 10대였던 2000년 1집 앨범 ‘ID:PeaceB’로 데뷔해 ‘넘버원’, ‘아틀란티스 소녀’ 등을 발표했다. SM엔터테인먼트 대표 가수로 일본으로 건너가 한류 확산에 큰 역할을 했다. 최근엔 JTBC 드라마 <이번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를 통해 연기자로 활동영역을 넓혔다. 주원은 2006년 뮤지컬 <알타보이즈>로 데뷔했으며 이후 KBS 2TV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와 <각시탈>, <굿 닥터>, MBC <7급 공무원> 등에 출연하며 스타 반열에 올랐으며 올해 안에 입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https://goo.gl/gIRjrO

- [ 정호성 “최순실, 대통령 연설문 손 볼 능력 안된다” ] ‘비선 실세’ 최순실씨(61)가 수정한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에 대해 청와대에서 “비문(非文·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많다”는 지적이 나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1월18일 열린 정 전 비서관의 공판에서 검찰은 조인근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이 “‘대통령의 실제 연설 내용이 어법에 맞지 않는다’는 취지의 말을 정 전 비서관에게 했다”는 진술 내용을 공개했다. 연설기록비서관은 공식적으로 대통령 연설문·말씀자료 초안을 작성하므로 어법 등을 민감하게 살펴야 하는 직책이다. 검찰이 최씨가 수정해 비문이 많았느냐고 추궁하자 정 전 비서관은 “솔직히 최씨가 대통령의 국정 전반 말씀자료를 수정할 능력은 없었다. 그러나 최씨가 대통령이 좋아하는 표현이나 속마음을 잘 아는 분이라 의견을 구했다”는 취지의 진술도 했다. https://goo.gl/OSCNdp 

- [ 최순실, 청와대 문고리와 하루 평균 3회꼴 통화 ]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48)이 최순실씨(61)와 2년간 총 2092회에 걸쳐 통화와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3회 꼴이다. 1월18일 서울중앙지법에서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 부장판사)의 심리로 열린 정 전 비서관에 대한 2차 공판에서 검찰은 “2013년 2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약 2년 동안 정 전 비서관과 최씨의 통화 및 문자메시지 내역이 총 2092회에 이른다”며 “통화는 895회, 문자메시지는 1197회”라고 밝혔다. https://goo.gl/DS2URd 

- [ 촛불집회 과정에서 ‘지식인’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 이유 ] 조선시대 왕의 공부기관인 경연(經筵)에서 많이 읽힌 책으로 <정관정요(貞觀政要)>가 있다. 당나라를 반석 위에 올려놓았던 태종이 그의 재상들과 나눈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제왕학의 교과서로 알려져 있다. 이 책에 실려서 더욱 유명해진 말 중에 임금과 백성의 관계를 갈파한 구절이 있다. “임금은 배요, 백성은 물이다. 물은 배를 띄우지만 뒤집을 수도 있다”는 말이 그것이다. 성공적인 권력 운영은 백성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는 뜻이다. 조선은 건국 초부터 유학을 통치 원칙으로 내세웠다. 유학에서는 권력의 정당성을 신(神)이나 무력이 아닌 ‘위민(爲民)’에서 찾는다. 백성을 권력 정당성의 토대로 삼았던 것이다. 이정철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은 “의미심장한 것은 촛불집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식인’의 역할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적어도 현대 한국에서 지식인은 사회의 흐름에 늘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기성 권력 쪽에서든, 그 권력에 반대하는 쪽에서든 그것은 다르지 않았다. 지식인들의 부재에도 전대미문의 규모로 사람들이 광장과 거리에 모였고, 그들의 주장은 명료했으며, 자연스레 나타나게 마련인 폭력은 자제되었다. 이런 양상이 주말마다 반복되고 있다. 우연이 아니라는 말이다”라고 말한다. https://goo.gl/cYVqvL 

Posted by jino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