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을 보고 알게 된 것_2019년 1월 23일
- [ 적자 인생, 29세부터 흑자 됐다가… ] 출생 후 28세까지 소비가 소득보다 많은 적자 상태를 유지하다 29세가 돼야 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가 가장 큰 시기는 16세였고, 흑자가 가장 큰 시기는 43세였다. 적자 상태에서 의료비나 교육비 등은 복지를 통해 충당하기보다는 상속이나 증여 등 가족의 도움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1월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모든 연령대의 소비와 소득을 보여주는 통계로, 경제적 자원이 세대 간에 어떻게 재분배되는지 알 수 있도록 개발됐다.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생애주기별로 적자와 흑자, 적자가 차례로 발생했다. 태어나서 28세까지는 적자 상태를 유지하다 29세부터 57세까지는 흑자로 돌아섰다. 이후 58세부터는 연령이 늘어날수록 적자폭이 커졌다. 흑자폭이 가장 컸을 때는 43세로 1306만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적자폭이 가장 큰 시기는 16세로 2460만원에 달했다. https://goo.gl/t5KG9m - [ 손혜원 두고 쓴소리 나오는 여권 ] 여권 내부에서 손혜원·서영교 의원을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1월22일 당·정·청 고위인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손 의원의 ‘목포 문화재거리 투기’ 의혹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의 대응 방식을 작심 비판했다. 민주당에선 손 의원 행태의 적정성을 둘러싼 설전도 불거졌다. 지도부가 사실상 묵인했던 서영교 의원의 재판 청탁 의혹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당내에서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낙연 총리는 새해 첫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손 의원 논란에 대해 “잘못이 확인되면 법대로 대처할 것”이라며 “정부·여당이 국민 앞에서 겸허해져야겠다는 다짐을 함께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여권에서 이번 의혹과 관련해 공개적으로 자성을 촉구하는 ‘쓴소리’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https://goo.gl/zvx7RS
- [ 증상 비슷하다고 남의 약 먹었다간… ] 일반적으로 급성 중독이라고 하면 ‘의도적으로 자신을 해하기 위해 독성 물질을 음독하거나 수면제 등의 약물을 과다복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급성 중독이 의도하지 않은 실수나 사고로 발생하고 있다. 2016년 국내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 따르면 비의도성 중독이 전체 중독환자의 37.7%였다. 특히 가정에서 발생하는 비의도성 급성 중독은 예방활동으로 막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비의도성 중독에서 가장 흔한 원인물질은 가정에서 보관되고 있는 약품으로, 이에 의한 중독사고를 막기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우선 의료진에게 처방 받은 약은 처방 받은 사람만 복용해야 한다. 가족이 처방 받은 약을 비슷한 증상이라고 해 다른 사람이 먹거나 하는 일은 절대 안전하지 않다. 또한, 약품은 권장된 용량보다 더 많이 복용하거나 더 자주 복용해서는 안된다. 소병학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무엇보다 남은 약품을 오래 가지고 있게 되면 혼동해 잘못된 약을 복용하게 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실수로 먹어 중독될 수 있어, 남은 약은 보관하지 말고 폐기하기를 권한다”고 강조했다. https://goo.gl/FxcNYh
- [ 능력으로 나라를 빛내는 일 ] ‘화국(華國)’은 문장력으로 나라를 빛낸다는 말이다. 동아시아에서는 문장이 외교 목적을 달성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현실정치가 힘으로 움직이는 것은 예나 이제나 다르지 않지만, 명분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그 힘을 마음대로 휘두를 수 없는 전통이 있었다. 오늘날 능력으로 나라를 빛내는 일에 무엇이 있을까.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분들이 많지만, 대중적으로 가장 주목을 받는 이들은 체육 선수다. 한국전쟁 직후 그 어렵던 시절, 원정으로만 치른 월드컵 예선전에서 일본을 완파한 축구대표팀 선수들만큼 국민의 자존심을 세워준 이가 있었을까. 박세리, 박찬호 선수의 낭보가 국가 부도의 시기를 버티게 해줬다는 분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 해도, ‘국민체육진흥법’의 제1조가 “체육을 통하여 국위 선양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로 끝맺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송혁기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는 “심석희 선수의 용감한 고백 이후 여론이 들끓고 정치권에서도 구체적인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강한 기시감을 어찌할 수 없다. 여전히 강조되는 엄한 처벌과 인적 쇄신, 엘리트 체육의 개선 등이 다시금 공염불로 끝나지 않을까 걱정이다. 결과에만 찬사와 비난을 쏟아붓고 과정의 비위에는 적당히 눈감아주는 한, 우리는 체육계 폭력에 분노할 자격이 없다. 성과 지상주의가 만들어내는 폭력의 치외법권을 근절해야 한다. 국가의 운명을 좌우한 외교상의 문장력이라면 모를까, 체육의 최종 목적을 국위 선양에 두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한다. https://goo.gl/vFMu6p- [ 1인당 국민소득 첫 3만달러 돌파 ]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1.0%를 기록하면서 3분기 만에 다시 1%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로 미뤄진 지자체의 투자가 재개됐고, 정부의 재정집행률도 높아지는 등 재정효과가 컸다. 민간소비도 나쁘지 않았고 건설과 설비투자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연간 실질성장률은 2.7%로 집계됐다. 이 같은 성장률은 2012년(2.3%)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지만 당초 시장전망치와 비교하면 나쁘지 않아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처음으로 3만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1인당 GNI는 성장률, 원·달러 환율 등을 감안할 때 3만1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2006년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연 이후 12년이 걸렸다. 2009년 금융위기 때는 다시 1만달러대로 떨어지기도 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으면서 인구 5000만명이 넘는 ‘30-50 국가’는 한국 포함 7개국밖에 없다. https://goo.gl/UKT4Yc
'지식 정보 공동체 > 신문을 보고 알게 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장면은 왜 ‘짱깨’가 되었나 (0) | 2019.02.22 |
---|---|
전두환, 국립묘지 못 간다 (0) | 2019.02.22 |
아이는 어쩌다 부모에게 ‘짐’이 되었나 (0) | 2019.02.22 |
“왜 더러운 사건만 오지”…판사의 막말” (0) | 2019.02.21 |
문빠는 괴물도 요물도 아니다 (0) | 2018.12.23 |